우리 아기들이 돌 전에 먹으면 안 되는 음식들이 생각보다 많은데 대표적인 음식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먹으면 안되는 음식
1. 꿀
꿀안에 들어있는 보툴리누스 균이 만드는 독소 때문입니다. 어른들은 독소를 해독시킬 수 있지만 돌 전에 아기들은 장 기능이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해독이 안된 독소가 소장으로 흡수가 되면 신경마비 증상이 올수가 있다고 합니다.
모유수유를 하는 엄마가 꿀을 먹는다고 하더라고 보툴리누스 균 입자가 크기 때문에 독소 성분이 모유에 전달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2. 복숭아
이것은 대표적인 알레르기를 유발시키는 과일입니다. 복숭아 주위에 털이 있기 때문에 만지거나 먹게 되면 아기 얼굴 입 주위가 붉어지고 붓고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물
생후 6개월 까지의 아기에게는 물을 마시게 하면 안 됩니다. 아기의 위는 크기도 작고 미성숙하기 때문에 작은 섭취만으로 포만감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먹이게 되면 분유나 모유를 덜먹거나 안 먹을 수가 있습니다)
생후 6개월까지의 필요한 수분 섭취량은 700ml정도 이며, 엄마가 주는 모유나 분유에서 충분히 섭취가 가능합니다. 생후 6개월~12개월 까지는 하루에 100-200ml 정도 물 섭취가 가능하며 물은 끓여서 식혀서 주면 됩니다.
또한, 수분섭취 권장량은 모유, 분유 포함해서 800ml입니다. 만약에 아기 기저귀에 평소보다 다르게 짙은색이거나 옅은 노란색일 경우는 수분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이럴 경우 권장량에 맞게 수분섭취를 해주며 됩니다.
4. 우유
돌전에 아기에게 우유를 먹이는 경우에 철분결핍성빈혈이 올수 있기 때문에 안먹이는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철분보다는 캴슘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돌전에 아기가 먹기에는 필요한 성분이 적고 필요하지 않은 성분들이 많아 적절하지 않습니다. 돌 전 아기는 단백질의 신장 배설 기능이 미성숙하여 단백질 함유량이 많은 음식을 섭취를 하게 되면 혈중 요소상승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5. 쥬스
아기에서 100%로 주스는 주고 싶은 마음에 집에서 만드는 쥬스를 만들어서 아기에게 주는 엄마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쥬스는 달고 맛있기 때문에 분유나 모유섭취를 감소시킬 수가 있습니다.
주스는 돌 이후에 먹이는 것이 좋은데 돌 이후에도 하루에 100% 과일 주스로 120ml 정도의 섭취량은 권장을 합니다.
6. 생선
생선에 있는 수은이 신경계를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등 푸른 생선 일 경우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돌 이후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생선을 먹이고 싶은 엄마는 생후 6개월부터 흰 살 생선으로 먹이면 됩니다. 도미, 갈치, 대구, 가자미 같은 흰살 생선으로 이유식을 통해 시작을 하면 됩니다.
생선에는 비린맛이 있기 때문에 처음 시작할 때는 비린내를 잡아주는 것이 좋으며, 신선한 생선으로 이유식을 만들어 먹이면 됩니다. (생선을 쪄서 살을 발라낸 후 흰 죽에 으깨서 먹입니다.)
7. 계란
계란 또한 알레르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테스트 없이 그냥 먹일 경우 기도가 부어올라 사망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고 합니다.
6개월 이후에 계란을 쪄서 소량의 노른자를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아기가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만약 입, 눈, 턱 머리 쪽이 붓기가 올라오는지 확인을 한 후 반응이 없으면 먹여봐도 됩니다.
만약 조금이라도 올라온다고 하면 먹이지 말고 시간을 두고 다시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가 심한 경우는 노른자를 피부에 올려두어도 바로 반응이 온다고 합니다.
노른자 테스트 후 흰자를 먹일 수가 있습니다. 노른자에 알레르기 반응이 없으면 1~2달 후에 흰자 테스트를 해보고 반응이 없을 경우 먹여도 됩니다.
생각보다 아기에서 계란 알레르기 반응이 오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2. 나의 생각
생각보다 아기에게 주의해서 먹여야 할 음식들이 많습니다. 나도 모르게 먹이게 되는 경우도 있고 주위에서 먹여봤는데 괜찮던데 먹여봐라고 하면서 권유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신생아 때는 아기의 몸 장기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엄마가 신경 써줘야 되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생후 6개월이 지나고 아기를 이유식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때 음식마다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아기가 알레르기 반응이 나면 어떻게 해야 되지라고 너무 겁을 먹지 말고 소량으로 테스트를 해보고 우리 아기가 어떤 음식에 알레르기 반응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나중에 아기에게 음식을 줄 때 더 신경을 쓰면서 줄 수가 있습니다.
저도 첫째가 알레르기 반응 테스트를 할 때 입술 주위에 바로 올라오는지 올라오면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는지 아니면 더 심해지는지 확인을 해봤습니다.
그렇게 테스트를 해보고 반응이 없으면 다음번에 이유식 만들 때 음식을 넣고 만들어 먹였습니다. 처음에만 겁나지 해보면 괜찮습니다.
반응이 나오면 먹이지 말고 심해지면 병원에 바로 가면 되기 때문에 진짜 주의해야 할 음식들 빼고는 심하게 오는 경우는 덜한 거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