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열이 무엇이고 고열이 무엇인가요?
신생아 또는 아가들은 보통 37.1~2도 기본적으로 온도가 높습니다. 미열이라고 하면 37.5도가 넘어가게 되면 미열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고열이 경우는 38도 이상으로 넘으면 고열입니다.
가장 흔한 상황으로는 감기거나 바이러스 질환으로 생기는 초기 증상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특히 아기는 저녁에 되면 열이 많이 오릅니다.
집안 온도, 습도를 조절을 하고 아기 체온을 유지하려고 노력을 했는데도 미열에서 계속 열이 점점 오른다고 하면 원에가서 진료는 보는 게 제일 좋습니다.
아기들은 외부저항으로 인해 방 온도, 입고 있는 옷, 옷의 두께에 따라서 열이 오르고 내리고 할수 있습니다. 아기의 온도의 비해 집온도가 너무 덥거나 입은 옷 두께가 두꺼우면 미열이 날수도 있으니 미열이 난다고 하면 집 온도와 옷의 두께를 조절을 해보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고열이 나면 엄마,아빠가 느끼기에도 뜨겁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기몸에서 느끼게 됩니다. 그럼 바로 열을 재보고 38도 이상이게 되면 바로 병원을 가는 게 제일 좋습니다.
해열제를 먹이는경우도 있는데 만 2세 이전의 아기라면 의사와 상의하여 먹이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해열제 종류가 많기 때문에 아무거나 먹이지 말고 의사가 처방해 주는 약을 먹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아기가 열이 나면 챔프시럽을 먹였고 복용량은 몸무게와 개월수를 고려하여 선생님이 몇 ml 먹으라고 말해주면 그렇게 먹였고, 해열제를 먹였을시에는 4시간 간격으로 먹여야 됩니다.
만약 해열제를 먹었는데 열이 안 떨어지면 교차복용을 할 수 있는데 많이들 아는 챔프 시럽 중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교차복용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빨간색은 이부프로펜 파란색은 아세트아미노펜이면 번갈아 가면서 먹이면 되고 교차일 경우는 2시간 간격으로 먹이면됩니다.
하지만 하루에 먹일 수 있는 허용량이 있기 때문에 열이 나는 속도를 보면서 조절해주면 좋고, 저희 아기는 빨간색 이부프로펜이 효과가 없어서 파란색 아세트아미노펜으로만 먹입니다.
이것은 아기들만에 효과가 맞는 약이 있기 때문에 아기에게 맞는 약을 찾아서 구비해 주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또한, 열이 고열이 아닌 37.5도 일 때 미열이난 다고 해열제를 먹이게 되면 아기가 저체온이 올 수 있다고 합니다. 저체온이 더 위험하기 때문에 미열이라고 해열제는 안 주는 게 좋습니다.
2. 집 온도, 습도
아기들 마다 온도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집안 온도를 몇 도로 해라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 20-23도 정도 맞추는 거 같습니다.
저희 아기는 지금도 25도만 되면 더워서 잠을 잘 자지 못합니다. 이불은 절대 안 덮고 베개에 땀이 젖을 정도로 더워합니다.
아기마다 체온이 다르기 때문에 아기온도를 보면서 집안 온도를 정해주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습도는 40-50% 유지해 주는 게 좋지만, 아기가 호흡기 질환이 있을 경우는 조금 더 높여주는 것도 좋습니다. 저희 아기 경우에는 감기 걸렸을 때 습도를 55-60% 올려서 유지해 줍니다.
병원에서도 습도를 더 올려서 해주면 아기가 잘 때 숨쉬기도 편할 거라고 말해주었습니다.
습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아기 피부가 건조해지고 코가 막혀 호흡기질환이 될 수도 있고, 너무 높을경우는 곰팡이가 서식하기 쉬어 알러지를 발생하게 될수도 있습니다.
3. 열 내리는 방법
첫 번째로 아기의 옷을 시원하게 입히거나 벗겨서 온도를 내려주는 거입니다. 이유는 옷을 걸쳐있는 상태면 아기 체온이 더 올라가기 때문에 열이 떨어지기에 늦어지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미온수로 아기의 전체적으로 닦아주는 것입니다. 아마 미온수로 닦는다고 해도 바로 식기 때문에 아기 한 데는 차가운 느낌을 받을 수 있어 많이 울수도 있습니다.
미온수를 아기를 닦아 줄 때는 겨드랑이와 목, 사타구니 부위를 손수건 또는 수건으로 닦아주는 게 좋습니다.
저희는 미온수도 닦이기도 하고 미온수를 손에 묻혀 아기 이마나 머리카락 쪽에 톡톡 묻혀두기도 합니다. 그럴 경우 아기열이 빠져나가는데 도움이 됩니다.
열이 나는 것이 아기가 혈관 수축되어 혈액순환이 안돼서 열이 더 나는 겁니다. 그럴 경우 아기 한데 양말을 씌어 주면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저도 처음에 이게 무슨 소리인지 이해를 못 하고 아기가 열이 나는데 양말을 왜 신기라는 건지 이해를 못 했습니다. 근데 진짜열이 너무 안 떨어지니 무슨 수를 써더라고 아기 열을 떨어트려야 된다는 생각에 양말을 신겨보았습니다.
진짜 신기하게도 열이 점점 떨어졌고, 아기가 열이 날 때 발 이 차가우면 바로 양말을 신겨 혈액순환이 잘되게끔 해주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