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의 발달의 중요성, 발달의 영역

by 써니의스토리 2023. 2. 2.
반응형

오늘은 아이의 발달의 중요성과 발달의 영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의 발달이 왜 중요한가?

1. 아이의 발달이 왜 중요할까?

첫 번째로 기초성입니다. 기초성이란 인생 초기의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은 일생을 결정하는 기초가 됩니다고 합니다. 특히 영유아 시기의 발달은 전 생에 발달에 있어 기초를 이루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예정된 발달을 이루어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고 원만한 발달을 할 수 있으면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두 번째로는 상호관계성입니다. 발달은 각 영역들이 서로 독립된 것이 아니라 상호 작용을 하면서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신체를 잘 사용하는 아이가 자기 효능감이 높고 자신감이 넘치는 것이 친구와의 관계에서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정체 영역이 골고루 발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결정적 시기입니다. 영유아기는 다른 발달 단계와 비교하여 발달의 가속이 크며 가변성의 폭도 넓습니다. 따라서 영유아기는 발달과정의 결정적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한 발달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최적의 시기를 의미합니다. 그 시기를 지나며 특정 행동을 학습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해지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는 적절한 환경이 제공되어야만 최선의 발달을 이룰 수 있습니다.

 

아이의 발달의 영역

2. 발달의 영역

1. 소근육 발달

손, 팔과 같은 소근육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조절하는 능력으로는 그리기, 색칠하기, 접기, 자르기, 블록 쌓기 등이 있습니다. 이것은 아기들 마다 시기에 맞게 소근육 발달에 도와주면 좋습니다.

 

2. 대근육 발달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근육을 사용하고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체를 이동하는 기능과 균형을 잡고 전달하는 기능, 대상물을 조절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걷기 , 뛰기, 계단 오르기, 내리기, 공 잡기, 공 잡고 던지기 등이 있습니다. 아기들 마다 걷는 시기는 다를 수 있습니다. 

늦으면 15개월 후에 걷는 아기들도 있기 때문에 걷는 거에 대해서는 부모님이 같이 노력해 주면 좋을 거 같습니다.

 

3. 인지발달

정신적 사고와 과정을 의미합니다. 언어, 역할놀이, 그림 그리기 등 상징적 사고와 면적, 크기를 비교하고 기억 발달, 장난감등을 분류시키는 것 들을 말합니다.

 

인지 발달이 제일 중요하며 인지능력만 떨어지지 않는다며 다른 발달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을 안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인지능력이 있으면 나중에 언어도 자연스럽게 나오고 상호작용도 잘 된다고 합니다.

 

4. 언어발달

자기의 표현을  타인에서 표현을 하고 전달은 것을 말합니다. 또한,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의도에 맞게 이해를 했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언어발달도 늦는다고 해서 너무 조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부모님이 아이에서 이야기를 할 때 아이가 다 알아듣고 인지를 하는지 안 하는지 확인을 먼저 하고, 아이가 인지를 한다고 하면 조금 늦지만 나중에 글에 대해 이해하는 것도 어릴 때 언어를 떼는 아이들보다 이해도가 높는다고 합니다.

 

5. 사회성 발달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제일 먼저 부모님과의 관계, 그리고 어린이집을 다닌다고 하면 선생님과의 관계 친구들과의 관계를 말하며 사회성은 영유아 시기 때는 어려우며 4살부터 점점 사회성 발달이 시작되어 아이들과 함께 노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6. 정서발달

슬픔, 기쁨, 무서움 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아이의 정서는 가정으로부터 시작이 된다고 생각을 하며, 부모님의 역학이 가장 크고 제일 중요한 부분입니다.

 

아이 앞에서 싸우는 시간이 많거나 물건이 던지거나 하면 아이에서 정서적으로 불안함이 커지고 나중에 자신의 정서를 조절을 해야 되는데 그게 어렵다고 합니다.

 

7. 자조 능력 발달

스스로 옷을 입고 벗거나 손으로 얼굴 씻기, 이 닦기 신발 신기, 벗기, 대소변 가리기 등 아이가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당연히 영유아 시기에는 혼자 하는 것은 힘듭니다.

 

아이에게 가르쳐주면 따라 하는 것이지 다른 아이가 한다고 우리 아기가 곧 잘하는 것은 아닙니다. 부모님이 시기에 맞게 아이에게 가르쳐주냐에 따라서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모든 것을 혼자 하려면 4살 이후가 되어야지 전체적으로 혼자서 잘할 수 있습니다. 그전까지는 부모님의 도움이 필요하며 아이에서 하나씩 가르쳐 주면 아이도 곧 잘할 겁니다. 

 

너무 성급하게 생각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아이가 혼자 할 수 있도록 옆에서 지켜봐 주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기다리다가 답답해서 부모님이 대신해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럴 경우 아이가 혼자 할 수 있는 것을 터득하는데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에 옆에서 부모님들이 기다려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